티스토리 뷰

1. 개요

모니터링을위 설치한 cacti 서버에 해당 자원별 snmp 설정을 통해 cacti에 등록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사전 요구사항

cacti 모니터링 서버에 apm 및 cacti 웹 모니터링 툴 사전 설치 완료

3. 모니터링 대상 장비별 snmp 설정

3.1. 먼저 로컬 snmp 설정

아래와 같이 모니터링 서버 업데이트 및 snmpd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install snmpd

snmpd.conf 설정에 커뮤니티 명과 LISTEN할 네트워크대역 및 포트 설정

sudo vi /etc/snmpd.conf

agentAddress 항목과 rocommunity항목을 아래와 같이 설정

agentAddress udp:127.0.0.1:161
rocommunity cacti localhost

설정파일 snmpd.conf 파일 수정 후 snmpd 재기동

sudo service snmpd restart

snmpd가 잘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을 해본다.

sudo service snmpd status
sudo snmpwalk -c cacti -v1 localhost

웹브라우저로 cacti 로그인한 뒤 방금 설정한 snmp로 얻을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해보자.

로그인 후 graphs 탭으로 이동하면 기본적으로 모니터링 서버의 Memory Usage, Load Average, Logged in Users, Processes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콘솔탭으로 이동, Configuration-Settings로 이동하면 설정항목의 General탭에서 SNMP 버전 및 Community를 snmpd.conf에서 설정한 것으로 변경한 뒤 저장


콘솔탭에서 좌측 메뉴의 Management-Devices항목을 선택하여 Localhost를 선택한다.


Localhost 장비의 버전과 Community명, 포트 등을 설정하고 저장


저장 뒤 하단의 Associated Data Queries 항목의 Add Data Query 중 SNMP- Interface Statistics를 선택하고 Add를 눌러 추가한 뒤 저장을 누른다.


해당 페이지의 상단 오른편에 Create Graphs for this Host를 클릭


Data Query항목에서 모니터링 할 NIC의 오른쪽 큰 체크박스에 체크하고 그래프 타입을 선택(여기에서는 Bytes단위)한 뒤 Create버튼을 클릭


몇 분(?) 후 그래프 탭에서 추가한 NIC의 트래픽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3.2. 원격 대상의 리눅스 서버 모니터링 추가

해당 서버에서 snmpd을 설치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install snmpd

cacti 모니터링서버에서 SNMP자료 받아갈 수 있게 snmpd.conf 설정

sudo vi /etc/snmp/snmpd.conf

#agentAddress udp:161,udp6:[::1]:161 주석을 풀어 접근가능하게 하고
#agentAddress  udp:127.0.0.1:161
agentAddress udp:161,udp6:[::1]:161 

#rocommunity 항목을 아래와 같이 추가한다. cacti모니터링 서버 아이피를 단독으로 넣어도 되고 해당 서버대역에서 긁어갈 수 있게 조치해도 될 듯 함
rocommunity cacti 192.168.1.0/24

모니터링 서버에서 식별할 수 있는 문구를 넣고 싶다면 snmpd.conf 설정파일에서 sysLocation 항목과 sysContact 항목을 적절하게 변경하기 바람


sysLocation    rack 01
sysContact     zipeya 

snmpd.conf파일을 저장한 뒤 snmpd 재시작

sudo service snmpd restart

cacti모니터링 서버에서 대상 원격 서버로 snmpwalk를 한번 해본다.

sudo snmpwalk -c cacti -v1 192.168.1.x(원격서버)

* 응답없음 등의 에러가 나오면 방화벽 설정이나 snmpd의 서비스 상태 등을 확인하여 조치

sudo ufw status
sudo service snmpd status

cacti웹으로 로그인 후 콘솔탭-Management-Devices항목을 클릭한 뒤 오른쪽 상단에 Add를 클릭하여 장비를 추가하자


아래와 같이 General Host Options, Availability/Reachability Options/SNMP Options 항목을 적절(?)하게 넣어서 Create버튼으로 생성


그러면 상단에 Save Successful.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쪽 Create Graphs for this Host를 클릭하여 필요한 그래프를 추가하도록 한다.


그래프 추가하는 화면에서 추가하고 싶은 항목에 체크한 뒤 Create버튼으로 생성한다.


몇 분(?) 뒤 그래프 탭 클릭해서 프리뷰 모드에서 잘 그려지는 지 확인해본다. 그래프 트리는 다음 기회에 추가하면 되기에 아직 트리에는 등록안되어있는 것으로 나옴


3.3. 원격 대상의 윈도우 서버 모니터링 추가하기

윈도우 계열도 SNMP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안다면 이후 cacti에서 장비 추가하는 것은 Host Template를 윈도우 2000/xp Host로 선택하고 SNMP 버전이나 커뮤니티명은 동일하게 설정하면 되기에 윈도우는 SNMP활성화하는 방법만 남긴다.

윈도우 서버에서 제어판-프로그램-프로그램 및 기능-Windows기능 켜기/끄기-SNMP항목을 체크하여 SNMP를 활성화한다.

실행창을 열고 services.msc를 실행하여 서비스 목록에서 SNMP Service항목을 더블 클릭하여 SNMP Service 속성에서 보안탭을 클릭한 뒤 아래와 같이 커뮤니티명과 SNMP 받아들일 호스트 설정

모니터링 서버에서 snmpwalk가 잘 되는지 한번 확인해보기

sudo snmpwalk -c cacti -v1 192.168.1.x(원격 윈도우서버)

이후 cacti 관리페이지에서의 장비 및 그래프 추가는 추가 및 그래프는 3.1. 과 3.2.에서 추가한 것과 동일하게 SNMP 버전 및 커뮤니티명을 원격 대상의 SNMP 설정과 동일하게 설정한 뒤 진행하면 된다.

윈도우 템플릿은 기본으로 설치하였을 때 2000,xp만 지원되는 것으로 되어있지만 이후 윈도우 버전에 대한 템플릿은 cacti홈피나 다른 사용자가 정의한 것을 찾아 향후 추가해보도록 하자.
다음 cacti 관련 포스팅은 사용자 계정 및 장비 트리 등 cacti웹에서의 설정 부분에 대한 것으로 하자.

'서버 > cac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5.10에 snmp 이용 모니터링 툴 cacti 설치하기  (0) 2016.02.02
Ubuntu 15.10에 APM 설치하기  (0) 2016.02.01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