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버/설치하기

큐브리드 설치.

잭앤슈 2013. 8. 8. 17:54

큐브리드 설치

큐브리드 홈 http://www.cubrid.com/zbxe/home

1. 계정 생성
 - sudo useradd -m cubrid -s /bin/bash
  * 유저 삭제는 sudo userdel -rf ID이름
 - sudo passwd cubrid


2. 다운로드 및 설치
 - 콘솔창에서 cubrid 계정으로 /home/cubrid 홈에서 wget http://ftp.cubrid.org/
CUBRID_Engine/9.1.0/Linux/CUBRID-9.1.0.0212-linux.x86_64.sh 입력하여 다운받는다.

- 콘솔창에서 sh CUBRID-9.1.0.0212-linux.x86_64.sh 입력하여 실행
  1) 라이선스는 읽고싶으면 읽고 적당히 q키를 눌러 빠져나오자.
  2) 동의허냐? yes
  3) 기본 설치위치로 헐꺼냐? yes 혀보자
  4) 계속헐꺼냐? yes
  5) 그럼 설치 완료되면 큐브리드 쓰고 싶일 때 명령어 타이핑하라는 내용이 뜰것임.
   -  % . /home/cubrid/.cubrid.sh
   -  % cubrid service start
 
3. 실행
 - $ . /home/cubrid/.cubrid.sh
 - $ cubrid service start
 - 위 명령을 차례로 실행허고, 별다른 에러 없이 실행되면 브라우저 열어보고 https:
//localhost:8282 열어보자.

웹매니저인데 꼭 phpMyAdmin의 그것과 비슷허구 초기 계정 및 암호는 admin/admin이다.  

* 참조: http://www.cubrid.org/wiki_tools/entry/introduce-cubrid-web-
manager_kr  

* conf 디렉토리에 있는 cm_httpd.conf를 편집하여 포트를 변경했다. listen
항목에 원하는 포트로 변경 저장 후 쉘에서 cubrid service restart명령으로 큐브리드 서비스 내렸다 올리기


4. db확인
 - 초기 테스트 해볼 수 있는 디비가 생성되어있다. demodb이고 dba계정에 암호는
없다.
큐브리드 설치는 여기까지~!

'서버 > 설치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일반적 조치사항  (0) 2014.01.17
우분투에서 톰캣 설치하기  (0) 2014.01.10
우분투에 SVN 설치허기  (0) 2013.08.09
오라클 JDK 설치  (0) 2013.08.09
우분투에 apm 설치혀보기  (0) 2013.08.08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